안녕하세요. 아이와 함께하는 34평 신축 아파트 DIY 인테리어를 소개합니다. 아이와 함께이기에, 소품을 통해 공간에 작은 변화를 주고 있답니다. 소소한 소품이 주는 따뜻하고 포근한 매력이 가득한 저희 집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Contents Stories
화이트 우드 톤의
내추럴 &심플
나의 라이프스타일을 소개합니다
소소한 소품이 주는 따뜻하고 포근한 매력이 가득한 공간 롯데하이마트 HAPPY YOON 고객님이 직접 소개합니다.
저희 집은 전형적인 4베이 구조(판상형)의 요즘 흔히 볼 수 있는 아파트 구조에요. 저희 집은 전체적으로 우드톤이 기본적으로 많이 들어가 있었어요. 자칫하면 올드해 보일 수 있었지요. 그래서 새롭게 들이는 부피가 큰 가구나, 커튼, 블라인드는 모두 화이트 톤으로 골라 전체적인 집의 분위기를 톤 업해주었어요. 그리고 손잡이나 거울 같은 작은 소품들에 골드로 포인트를 주었지요.
작은 소품이주는 공간의 변화, 현관&복도
그럼, 화이트 우드톤의 따듯한 저희 집으로 초대합니다. 저희 집 현관에는 제가 애정 하는 사슴 마그네틱이 자리 잡고 있어요.
계절에 따라 작은 소품으로 변화를 주고 있지요. 리스만 걸쳐놨을 뿐인데 겨울분위기가 물씬 나지요? :)
작은 복도에는 액자와 함께 간접 등을 설치해주었어요. 간접조명의 따뜻한 빛이 집을 한결 더 포근하게 만들어주는 것 같아요.
함께하는 가족의 공간, 거실
거실은 아이를 위한 공간이자, 저희 부부를 위한 공간이기도 하지요. 그렇기에 절충안이 필요했어요. 거실에 거실장을 없애고 TV는 벽걸이로 설치하여 공간을 확보했지요.
그리고 수납장을 마련하여 아이의 장난감을 수납하였어요. 아이의 텐트를 한 켠에 마련해주어 아이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해보았지요. 그렇게 아이를 위한 공간과 깔끔한 거실을 원하던 부부의 니드도 충족된 저희 가족의 거실이 완성될 수 있었지요.
그리고 수납장을 마련하여 아이의 장난감을 수납하였어요. 아이의 텐트를 한 켠에 마련해주어 아이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해보았지요. 그렇게 아이를 위한 공간과 깔끔한 거실을 원하던 부부의 니드도 충족된 저희 가족의 거실이 완성될 수 있었지요.
아직, 제대로 된 영화도 한편 본적 없지만, 남편의 자부심 86인치 TV는 거실 인테리어의 완성이라고 할 수 있지요.
주방 BEFORE
저는 주방 안에 또 다른 다이닝 룸을 계획해보았습니다. 같은 공간에 있지만, 조금은 다이닝룸 특유의 아늑함이 느껴질 수 있게 인테리어를 계획해 보았어요. 오랜 고민 끝에 완성된 저희 집 다이닝 룸을 소개합니다.
저희 주방의 가장 큰 문제점은 첫째, 아일랜드 위의 상부장으로 인해 개방감이 확보되지 않음. 둘째, 자칫 올드해 보일 수 있는 우드톤의 주방가구 컬러 셋째, 애매한 아일랜드 옆 테이블의 위치 등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과감하게 주방 아일랜드 위에 있는 상부장 철거를 계획했습니다.
저희 주방의 가장 큰 문제점은 첫째, 아일랜드 위의 상부장으로 인해 개방감이 확보되지 않음. 둘째, 자칫 올드해 보일 수 있는 우드톤의 주방가구 컬러 셋째, 애매한 아일랜드 옆 테이블의 위치 등이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과감하게 주방 아일랜드 위에 있는 상부장 철거를 계획했습니다.
아래 사진이 아일랜드 위에 상부장만 철거한 사진이에요. 상부장만 철거했는데도 개방감이 느껴지는 것 같아 만족했어요. 실은 철거하기 전 까지만 해도 철거가 과연 맞는 것일지 무척이나 고민했었거든요.
무광흰색타일과 팬던트 조명으로 완성된 다이닝룸
제가 이사를 계획하며 가장 만들고 싶었던 공간은, 개별 다이닝 룸이었어요. 현재 저희 집에서도 가장 메인이라고 자부할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지요.
주방 아일랜드 위에 장을 철거한 자리는 무광흰색타일로 깔끔한 마무리를 해주었어요. 첫만남부터 눈에 거슬리던 식탁 위의 방석등도 예쁜 팬던트 형태의 조명으로 바꿔주었답니다: )
그리고 애매하던 아일랜드 옆 테이블 공간에는, 저만의 홈카페를 만들어 주었답니다. 드롱기 데디카 커피머신은 제가 제일 애정하는 가전제품이에요. 아침이면 마치 카페에 온 듯한 커피향을 가득 풍겨주는 저만의 소중한 공간을 완성해주었답니다.
빌트인으로 편리하게, 수납도어로 깔끔하게. 주방
저희집 주방은 상부장과 하부장, 그리고 샷시 프레임까지 모두 우드톤의 제품이었어요. 그래서인지, 주방의 첫인상이 저에게는 ‘칙칙하다’라고 느껴졌었지요. 이사준비를 하며 주방은 최대한 깔끔하게 빌트인제품을 많이 넣고, 상판 위에 올라가는 가전제품은 흰색으로 통일감을 주었어요. 냉장고와 같이 부피가 큰 제품도 흰색으로 깔끔하게 통일해주었지요. 김치냉장고의 경우, 수납도어 안으로 감춰주어 색은 다르지만 깔끔하게 정리해보았어요.
수납도어 안에 공간에 여유가 있어 다이슨청소기와 휴스톰 물걸레 청소기도 함께 정리해줄 수 있었답니다. 아무래도 아이가 있다보니 청소기를 사용할 일이 많은데, 사용하기 편안한 동선에 정리할 수 있어 매우 만족하였답니다.
밥솥도 아일랜드 아래 수납장에 넣어주고, 광파오븐과 식기세척기는 빌트인으로 깔끔하게 자리잡아주었어요. 아무래도 부피가 큰 가전제품이 빌트인으로 들어가니 주방에 더 여유공간이 많아진 것 같아요.
주방 옆 다용도 실에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깔끔하게 선반위에 직렬로 올려주었어요. 아이가 있어 세탁기, 미니워시, 건조기까지 정말 필수아이템이랍니다.
하루의 시작과 끝을 따뜻하고 포근하게. 안방
하루의 시작과 끝을 함께하는 안방은 가족의 편안한 휴식공간이 되기를 원했습니다. 그래서 따뜻한 느낌이 들고,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가구 배치를 해보았답니다.
편안한 휴식을 취하는 공간이기에 공기청정기도 필수로 놓았지요.
부부의 휴식공간, 베란다
안방이, 아이와 함께 세 가족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이었다면, 베란다는 저희 부부가 편안하게 취미생활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보았어요.
이곳에서 커피를 마시기도 하고, 책을 보기도 하고, 노트북으로 웹 서핑을 하거나 음악을 듣기도 하지요. 요즘은 닌텐도 게임에 푹 빠져 있답니다. 아이가 낮잠을 자거나 밤에 잠에 들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시간이 되면 이곳에서 휴식을 취하고는 해요.: )
깔끔하고, 단순하게. 드레스룸
드레스 룸은 최대한 단순하게 계획해보았어요. 물건을 자주 잃어버리는 남편을 위해 남편만을 위한 공간도 마련해주었지요. 타공판위에 남편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주었더니, 남편도 아주 만족했어요. 요즘 필수템인 로봇청소기도 드레스 룸 한 켠에 자리해보았어요. 로봇청소기가 꼼꼼하게 청소해줄 뿐만 아니라, 아이와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날 수 있어서 아주 만족해요.
아이의 눈높이에서, 아이를 위한 공간. 아이방
아이방 문 앞이에요. 문 앞도 아이가 좋아하는 귀여운 소품으로 꾸몄어요:)
아이방은 낮은 가구를 사용하여 아이의 눈높이에 모든 사물이 보일 수 있게 배치해보았어요. 아이방에도 공기청정기는 필수로 설치하였어요. 쾌적한 환경에서 아이가 편안하게 놀 수 있어 안심이랍니다. 남자 아이 방이지만, 엄마의 감성으로 꾸며보았답니다.
아이와 함께, 그리고 또 따로. 서재
서재에는 부부가 사용하는 컴퓨터와 아이와 함께 책을 읽을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보았어요. 처음에는 부부만을 위한 공간이었지만, 아이가 이 곳에 와서 책 읽기를 좋아하여 아이책도 자리잡기 시작하였지요.
제가 직접 만든 소품들로 아이방도 가득 채워주었어요. 이번 집의 인테리어를 계획하며, 집의 공간 곳곳에서 아이와 함께 행복하게 웃는 모습을 상상해보았어요. 그리고, 그 공간들이 편안함과 따뜻함이 가득한 공간으로 가득 채워지기를 바랬었지요.
상상 속 집의 공간이 현실로 나타났을 때, 그 행복은 상상 이상이었어요. 앞으로도 저는 가족을 위한 따뜻한 공간을 계속해서 꾸며 나 갈 계획이에요. 이 집에서 저희 세 가족이 지금처럼 함께 웃으며 행복하기를 바라봅니다.
상상 속 집의 공간이 현실로 나타났을 때, 그 행복은 상상 이상이었어요. 앞으로도 저는 가족을 위한 따뜻한 공간을 계속해서 꾸며 나 갈 계획이에요. 이 집에서 저희 세 가족이 지금처럼 함께 웃으며 행복하기를 바라봅니다.

BY HAPPY YOONjiyu****
사진 속 모든 상품
함께보면 좋은 상품